중앙처리장치
- 인간으로 따지면 두뇌에 해당하는 것으로 CPU라고 부름
- 연산 장치, 제어 장치, 레지스터
- 연산 장치
-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, 두가지를 모두 수행하기 때문에 산술논리연산장치라고도 말함
-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레지스터에서 가져오고, 연산 결과를 다시 레지스터로 보냄
- 제어 장치
-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
-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를 꺼내 해독한 다음, 해독한 결과에 따라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기억장치, 연산장치, 입출력장치로 보냄
- 레지스터
- CPU의 속도와 비슷한 고속의 기억장치
- 명령어 주소, 코드,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, 연산 결과 등을 임시로 저장
- 범용 레지스터와 특수 목적 레지스터로 구분됨
- CPU 종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레지스터의 개수와 크기가 다름
- 범용 레지스터: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나 연산 결과를 임시로 저장
- 특수 목적 레지스터: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는 레지스터로, 용도와 기능에 따라 구분
-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(MAR): 읽기와 쓰기 연산을 수행 할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저장
- 프로그램 카운터(PC):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
- 명령어 레지스터(IR):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
-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(MBR):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나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
- 누산기(AC): 연산 결과를 임시로 저장
중앙처리장치(CPU)의 동작 과정
- 주기억장치는 입력장치에서 입력받은 데이터 또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온다.
-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고 결과를 다시 주기억장치에 저장
- 주기억장치는 처리 결과를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거나 출력장치로 내보낸다.
- 제어장치는 1~3과정에서 명령어가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각 장치를 제어한다.
명령어 세트
명렁어 세트란 CPU가 실행할 명령어의 집합으로서 CPU에 따라 형식과 종류가 서로 다르다. 명령어는 실행할 연산을 나타내는 **연산코드(Operation Code)**와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나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**피연산자(Operand)**로 구성된다.

연산코드(OP Code)
연산코드는 실행하는 연산의 종류에 따라 4가지 기능으로 나뉨
- 연산 기능: 사칙연산, 시프트, 보수 등의 산술연산과 논리곱, 논리합, 부정 등의 논리연산을 수행
- 제어 기능: 조건 분기와 무조건 분기 등을 사용하여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제어
- 데이터 전달 기능: 레지스터와 레지스터 사이, 레지스터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
- 입출력 기능: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전달하고, 연산 결과는 출력장치로 전달